본문 바로가기

🗣/영어

⌛️”80일간의 세계일주” 원서 영어 공부: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728x90

이제 일행들은 인도를 떠나 홍콩으로 항해를 합니다. 인도에서 우연찮게 구출한 여인 아우다가 동행을 하면서 이야기가 좀더 로맨틱해지고 있엉. 이번 포스팅에서는 홍콩으로 가는 항로에 있는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 대한 부분을 발췌해서 영어 공부도 하고 이 지역을 알아보려고 해요. 책에서는 한 문단 정도로만 언급되는 지역이지만, 구글링을 해보니까 굉장히 흥미로운 지역이었어요. 세상은 정말 넓고 제가 모르는 곳은 많은 것 같아요.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인도 동쪽 벵골만에 위치한 섬들입니다. 인도 최고의 해변으로 꼽히는 라덴 비치도 여기에 있다고 해요.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쿨링 명소가 많은 곳으로 바다 여행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정말 최고의 여행지인 것 같아요. 

320x100

영어 원서 공부

  The first few days of the voyage passed prosperously, amid favorable weather and propitious winds, and they soon came in sight of the great Andaman, the pricipal of the islands in the Bay of Bengal, with its picturesque Saddle Peak, two thousand four hundred feet high, looming above the waters. The steamer passed along near the shores, but the savage Papuans, who are in the lowest scale of humanity, but are not, as has been asserted, cannibals, did not make their appearance. 
  The panorama of the islands, as they steamed by them, was superb. Vast forests of palms, arecs, bamboo, teakwood, of the gigantic mimosa, and tree-like ferns covered the foreground, while behind, the graceful outlines of the mountains were traced against the sky; and along the coasts swarmed by thousands the precious swallows whose nests furnish a luxurious dish to the tables of the Celestial Empire. 

propitious의 발음

발음이 [prəpíʃəs]입니다.tious 부분을 '티우스'라고 계속 발음해왔고 틀렸을 거라곤 전혀 생각을 못했는데 틀렸었네요. 간혹 가다 이렇게 내가 모르고 있다는 인지조차 못하는 발음의 단어들이 있어서 확실하지 않으면 꼭 사전을 찾아봐야하는 것 같아요. 요즘 영어 공부 포스팅을 게을리했는데, 바로 반성합니다. 

in the lowest scale of ~: ~의 가장 낮은 단계에 있는 

이 표현은 순서나 위계에서 가장 낮은 단계에 속한다는 의미입니다. scale이라고 하면 자나 저울의 눈금, 척도나 단계를 의미해서 the lowest scale이 가장 낮은 단계를 말하고 of 뒤에는 이 단계들을 총칭하는 명사를 붙이면 됩니다. 위 예문 속에서는 in the lowest scale of humanity라고 해서 안다만 섬의 파푸아인들이 인류의 가장 낮은 단계에 속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대상을 고려해도 굉장히 인종차별적인 문장으로 보여서 조금 불편한 내용입니다. in the lowest scale of는 요즘 시대에서는 잘 쓰는 표현을 아니라고 해요. at the bottom of scale이 요즘은 좀 더 자연스러운 표현인 것 같습니다. 

as has been asserted / as has been mentioned

assert라고 하면 '(강력하게) 주장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assert가 현재완료와 같이 쓰였기 때문에 지금보다 조금 더 과거 시점을 말하고 또 수동태이기 때문에 '주장이 되어졌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본 문장의 주어에 대해 예전부터 주장되어진 것을 말합니다.

예문에서는 savage Papuans이 주어여서, 파푸아인들에 인류의 가장 낮은 등급이지만 (주장되는 것처럼) 식인종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assert는 굉장히 강하게 주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고 또 포멀한 느낌을 주는 단어여서 실생활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고 해요. 그래서 응용해서 사용하려면 asserted 대신에 mentioned, claimed, said과 같은 단어로 대체하면 좀더 자연스럽다고 합니다.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나무들

vast forests of pamls, bamboo, teakwood, mimosa, ferns는 이 섬의 앞마당에 있는 나무들입니다. 제가 검색을 해봤는데 딱 봐도 열대 열대스러운 나무들이었어요. arecs의 경우는 검색을 해도 어떤 식물인지 나오지 않았어요. 아마도 빈랑나무라고 하는 areca의 오타나옛이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fern은 양치류 식물을 말합니다. 


  • propitious: presenting favorable circumstances / 호의를 가진, 친절한, 상서로운, 길조의
  • superb: of surpassing excellence / 훌륭한, 최고의
  • trace: make a mark or lines on a surface / 윤곽을 그리다, 선을 긋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