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엔비디아 기사를 읽는 중 발견한 표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stand in the way of’라는 표현인데요.
난이도가 있는 표현은 아닌 것 같은데 머릿속에 잘 정리가 안되어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stand in the way of"는 영어 표현으로, 무언가의 진행이나 성취를 방해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물리적으로 길을 막는 것 뿐만 아니라, 비유적으로 어떤 계획이나 목표를 방해하는 상황에서도 사용됩니다.
stand의 앞에 위치하는 주어가 of의 목적어를 방해하는 거예요. 저는 이 주술 관계가 헷갈려서 예문을 읽으면서 많이 어려웠어요. 그래서 예문을 몇 개 찾아서 분석해보고, 직접 작문도 해보려 합니다.
먼저 예문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뉴스에서 발췌했어요.
Nvidia's mind-blowing success story is attracting hungry competitors — and that may stand in the way of the chip juggernaut eventually hitting a $10 trillion market cap. (엔비디아의 놀라운 성공 스토리는 경쟁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칩 거대 기업이 10조 달러의 시가총액에 도달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mind-blowing [ˈmaɪndˌbloʊɪŋ] : 놀라운
- market cap [ˈmɑːrkɪt kæp] : 시가총액
🌟 여기서 ‘stand in the way of’의 주어는 that의 선행사인 hungry competitors이고 of의 목적어는 the chip juggernaut, 엔비디아입니다. 그래서 배고픈 경쟁자들이 반도체 거물인 엔비디아가 시가 총애 10조 달러에 도달하는데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됩니다. stand 앞에 may가 더해져서 ‘방해할 수 있다’의 불확실한 가능성을 의미해요. |
There was still no evidence of a lab leak, but so much remained unknown — and China seemed so determined to stand in the way of answers — that more scientists began urging a closer look. (실험실 유출에 대한 증거는 여전히 없었지만, 많은 것들이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고 중국이 답변을 방해하려는 의지가 너무 강해 더 많은 과학자들이 더 면밀한 조사를 촉구하기 시작했습니다.)
- determined [dɪˈtɜːrmɪnd] : 결심한, 단호한
- urge [ɜːrdʒ] : 촉구하다
🌟 이 예문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요 우선 하이픈 사이에 들어가 있는 절을 빼고 문장 전체를 볼게요. lab leak에 대한 증거가 여전히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많은 것들이 unknown의 상태, 알려지지 않은 상태라 더 많은 과학자들이 closer look을 urge하기 시작했다고 해요. lab leak이라고 하면 실험실을 의미하는 lab과 ‘유출’, ‘새다’라는 의미를 가진 leak이 결합한 단어인데요. 이건 COVID 시작이 어디서 되었는지에 대한 음모론 중 하나인 실험실 유출건을 말해요. 그리고 but으로 다음 절이 연결되면서 ‘너무 ~해서 ..하다’로 해석할 수 있는 so-that 구문이 나와요.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너무 많아서 더 많은 과학자들이 면밀한 조사(a closer look)를 촉구(urge)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하이픈 사이의 절은 추가적인 설명을 하는 부사절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내용상 so much unknown에 대한 이유를 덧붙이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중국이 아주 강하게 대답을 방해하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여기서 stand in the way of의 주어(방해하는 사람)는 중국이고, of의 목적어(방해받는 것)은 answer입니다. 이 예문에서는 seem so determined to stand in the way of로 쓰여서 좀 더 세밀한 뉘앙스의 표현이 들어갔어요. 원래 be determined to ‘~하기로 결심하다(단단히 마음먹다)’의 의미인데, be 대신 seem이 들어가서 ‘~하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이다’와 같이 추측의 뉘앙스가 들어갔어요. 그래서 중국이 대답을 그냥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방해하기로 마음을 먹은 것처럼 보인다는 거죠. 중국이 그런 마음을 먹은 것까지는 우리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렇게 보인다는 거죠. 이런 세밀한 뉘앙스까지 잘 표현하는 것이 제 영어 공부 목표랍니다. |
“For too long, insurance companies have used predatory tactics to make an extra dime at the expense of Illinois consumers,” Pritzker said at a bill signing ceremony in Chicago. “For too long, patients have delayed or been denied medically necessary treatments because of profit-driver utilization management practices. For too long, shoddy networks, price gouging and overly complicated bureaucracies have stood in the way of our families getting the care that they deserve.” (“너무 오랫동안 보험 회사들은 일리노이 소비자들을 희생시키며 추가 수익을 올리기 위해 약탈적인 전술을 사용해 왔습니다,”라고 프리츠커는 시카고에서 열린 법안 서명식에서 말했다. “너무 오랫동안 환자들은 이익 주도형 이용 관리 관행 때문에 의학적으로 필요한 치료를 지연하거나 거부당했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형편없는 네트워크, 가격 인상, 지나치게 복잡한 관료주의가 우리 가족들이 받아야 할 치료를 방해해 왔습니다.”)
- predatory tactic [ˈprɛdəˌtɔri ˈtæktɪk] : 약탈적 전술
- extra dime [ˈɛkstrə daɪm] : 추가 수익
- at the expense of something : ~을 희생하여
- medically necessary treatments [mɛdɪkli ˈnɛsəˌsɛri ˈtritmənts] : 의학적 필수 치료
- profit-driver [ˈprɑːfɪt-ˈdraɪvər] : 이익 주도형
- shoddy [ˈʃɑːdi] : 형편없는
- price gouging [ˈpraɪs ˈɡaʊdʒɪŋ] : 가격 인상
🌟 이 예문은 흥미로운 형태여서 좀 길지만 통으로 가져왔습니다. 이 예문은 시카고의 법안 서명식에서 발언되었던 내용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연설톤의 느낌이 있어요. ‘For too long’의 반복을 통한 강조와 운율이 느껴지네요. 너무 긴 시간 동안 무엇무엇했고, 너무 긴 시간 동안 무엇무엇했고, 또 너무 긴 시간 동안, 무엇무엇했다라는 식으로 문제점에 대한 강조가 돋보이는 문장이예요. 첫번째 절부터 보면, 너무 오랫동안 보험사들이 predatory tactics을 써왔대요. . extra dime을 만들기 위해서요. predatory하면 주토피아에서 많이 들어본 기억이 있으실건데요. 육식을 설명하기도 하고, ‘약탈하는’을 의미하기도 해서 ‘predatory tribe’라고 하면 약탈 부족을 의미합니다. 이 예문에서는 ‘predatory tactics’라고 해서 약탈적인 전략을 말합니다. 보험회사들이 약탈적 전략을 쓰는 이유는 추가적인 돈을 벌기 위해서(to make an extra dime)입니다. dime은 10센트를 의미하구요. 여기서는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이 조금 낯선데요. ‘at the expense of Illinois consumers’라고 해서 ‘일리노이주 소비자(고객)을 희생하여’라는 뜻이예요. 그러니까 보험사들이 일리노이주 고객을 희생해서 추가적인 이득을 보는 전략을 펼쳐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너무 오랫동안, profit-driver utilization management practices 때문에, 환자들은 의학적으로 필수적인 치료를 거부받거나 지연되었다고 합니다. profit-driver utilization management practices같은 단어들이 자세히 보면 어려운건 아닌데 명사명사명사 어택으로 순간적으로 어질어질하게 만드는거 같아요. profit-driver, management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 utilization, practices같은 단어들이 의미를 애매하고 알고 있어서 어려운거 같아요. 이 두 단어는 개별 포스팅으로 추가 공부를 해야겠어요. 그리고 마지막 For too long 절이 나옵니다. 여기서 ‘stood in the way of’가 나옵니다. 명사들을 나열해서 주어를 만들고 이것들이 우리 가족들이 care 받는 것을 방해했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care는 치료를 말하구요, care 뒤의 that절이 어떤 care인지 설명해주고 있어요. ‘stand in the way of’의 활용적 측면에서 어려운 부분은 없네요. |
예문은 여기까지 살펴보구요, 이제 작문을 해보려 합니다.
제가 독해는 그럭저럭 하는 편인데 작문이 영… 힘들어서 ㅠㅠ 작문 위주로 자꾸 연습해보려구요.
AI에게 ‘방해를 하다’라는 내용이 들어가는 문장을 여러 개 만들어 달라고 했어요. 이 문장들을 영어로 직접 바꿔보고, 또 AI에게 번역해달라고 해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차이가 있다면 무엇인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영작연습 1
‘나쁜 날씨가 우리의 여행 계획을 방해할 수 있다.’ ← 이 문장을 먼저 제가 직접 영작한 후, AI의 도움을 받아보겠습니다.
- 내가 영작 : Bad weather may stand in the way of our trip
- AI 영작 : Bad weather can disrupt our trip.
일단, 마침표를 안 찍은 실수와 조동사 선택의 실수가 보이고요. 가장 큰 차이인 동사를 비교해볼게요.
- Disrupt: 이 단어는 주로 무언가를 갑작스럽게 중단시키거나 혼란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Disrupt"는 방해의 결과로 인해 정상적인 진행이 깨지거나 중단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Bad weather can disrupt our trip"은 나쁜 날씨가 우리의 여행을 갑작스럽게 중단시킬 수 있다는 뜻입니다.
- Stand in the way of: 이 표현은 어떤 목표나 계획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Stand in the way of"는 물리적으로 길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비유적으로 어떤 계획이나 목표를 방해하는 상황에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Bad weather may stand in the way of our trip"은 나쁜 날씨가 우리의 여행을 방해할 수 있다는 뜻으로, 여행을 가는 길을 막거나 계획을 저지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영작 연습 2
팀 내부의 갈등이 목표 달성을 방해하고 있다. 이 문장을 마찬가지로 직접 영작 후 AI 영작본과 비교해볼게요. 쉬울 줄 알았는데 두 문장이 완전 달라서 깜짝 놀랐습니다.
- 내가 작성 : Trouble in the team has been standing in the way of achieving goals.
- AI 작성 : Conflict within the team is hindering the achievement of goals.
첫 번째로, 갈등에 대한 단어 선택 차이를 보겠습니다.
주어인 갈등을 영작할 때 저는 trouble을 선택했고, AI는 conflict를 사용했어요. 두 단어의 차이를 볼게요.
Trouble
- 일반적인 문제나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 상황이나 상태를 폭넓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보통 개인적인 문제나 일상적인 어려움에 더 자주 사용됩니다.
- 예: "He's having trouble with his homework." (그는 숙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Conflict
- 의견, 이해관계, 목표 등의 충돌을 나타냅니다.
- 주로 사람들 간의 불화나 갈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공식적이고 심각한 상황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 예: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two departments." (두 부서 간에 갈등이 있다.)
따라서, "팀 내부의 갈등"을 표현할 때는 Conflict가 더 적절한 선택입니다. Trouble은 좀 더 일반적이고 모호한 문제를 나타내며, 갈등의 뉘앙스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팀 내부의'를 번역한 표현인 in the team과 within the team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In the team
- In the team은 팀의 물리적 또는 조직적 구조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나 사건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예: "There are some issues in the team." (팀 내에 몇 가지 문제가 있다.)
Within the team
- Within the team은 팀의 경계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나 사건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예: "There is a strong sense of camaraderie within the team." (팀 내에서 강한 동료애가 있다.)
따라서, "Conflict within the team"은 팀의 구조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더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Trouble in the team"은 팀의 물리적 또는 구체적인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사를 비교해보겠습니다.
Stand in the Way of
- 비유적 의미: 주로 어떤 계획, 목표, 진행 상황 등을 방해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물리적으로 길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비유적으로 어떤 목표나 계획의 진행을 저지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지속적 방해: 주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방해를 의미합니다.
- 구조: "stand in the way of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됩니다.
Hinder
- 일반적 의미: 어떤 일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광범위한 사용: 일상적인 상황에서부터 공식적인 상황까지 매우 폭넓게 사용됩니다.
- 구조: 주어 + hinder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됩니다.
- 예: "The heavy traffic hindered our progress." (심한 교통이 우리의 진행을 방해했다.)
차이점 요약
- 비유적 vs 일반적: "stand in the way of"는 비유적인 의미로 어떤 목표나 계획의 진행을 저지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며, "hinder"는 더 일반적으로 어떤 일의 진행을 방해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지속적 vs 순간적: "stand in the way of"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방해를 의미하는 반면, "hinder"는 더 순간적이고 일시적인 방해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 구조: "stand in the way of"는 "stand in the way of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되며, "hinder"는 주어 + hinder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됩니다.
영작 연습 3
계속된 에러가 시스템의 정상 작동을 방해하고 있다.
- 내가 작성 : Continuous errors are standing the way of system operation.
- AI 작성 : Persistent errors are interfering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ystem.
Continuous와 Persistent는 둘 다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내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뉘앙스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Continuous
- 의미: 끊임없이 이어지는, 중단 없이 계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맥락: 시간적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어떤 일이 중단 없이 계속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예: "The continuous noise from the construction site was very annoying." (공사 현장에서 끊임없이 들리는 소음이 매우 성가셨다.)
- 특징: 중단이나 간격 없이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내며, 주로 물리적, 시간적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Persistent
- 의미: 끈질기게 계속되는, 끈기 있는, 집요한 것을 의미합니다.
- 맥락: 어떤 일이 끈질기게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시간적 연속성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강도나 집요함도 강조합니다.
- 예: "He has a persistent cough that won't go away." (그는 끈질기게 낫지 않는 기침을 하고 있다.)
- 특징: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며, 끈질기게 반복되는 상황이나 문제를 나타냅니다.
차이점 요약
- 시간적 연속성 vs 끈질김: "Continuous"는 중단 없이 계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반면, "Persistent"는 끈질기게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맥락: "Continuous"는 주로 물리적, 시간적 연속성을 강조하는 반면, "Persistent"는 끈질기거나 집요한 상황을 강조합니다.
- 사용 예시: "Continuous"는 주로 중단 없이 계속되는 상황이나 물리적 현상에 사용되고, "Persistent"는 반복적이고 끈질기게 계속되는 문제나 상황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속된 에러"를 표현할 때, 에러가 끈질기게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면 "Persistent errors"가 더 적절한 표현이 됩니다.
"Stand in the way of"**와 **"interfere with"**는 모두 방해나 저지를 의미하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Stand in the Way of
- 비유적 의미: 주로 어떤 목표, 계획, 진행 상황 등을 방해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물리적으로 길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비유적으로 어떤 목표나 계획의 진행을 저지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지속적 방해: 주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방해를 의미합니다.
- 구조: "stand in the way of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됩니다.
- 예: "Bad weather may stand in the way of our trip." (나쁜 날씨가 우리의 여행을 방해할 수 있다.)
- 특징: 어떤 목표나 계획에 대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방해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Interfere with
- 일반적 의미: 무언가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중단시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일시적 방해: 주로 일시적이고 직접적인 방해를 의미합니다.
- 구조: "interfere with + 목적어" 형태로 사용됩니다.
- 예: "The noise interfered with my concentration." (소음이 내 집중을 방해했다.)
- 특징: 일시적이고 직접적인 방해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차이점 요약
- 지속적 vs 일시적 방해: "stand in the way of"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방해를 의미하는 반면, "interfere with"는 일시적이고 직접적인 방해를 의미합니다.
- 비유적 vs 일반적 의미: "stand in the way of"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목표나 계획에 대한 방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interfere with"는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방해나 중단을 나타냅니다.
- 사용 예시: "stand in the way of"는 주로 목표나 계획의 진행을 방해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며, "interfere with"는 일상적인 행동이나 활동을 방해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두 표현은 비슷한 방해의 의미를 가지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방해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영작을 해보면서 다른 비교를 해본 기 정말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아요!
'🗣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공부기록_downcast와 ruefully의 뜻 | absolute basis | girdle의 동사 의미 (22) | 2024.09.07 |
---|---|
영어표현 | To Top It All Off' 표현으로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해보세요. (11) | 2024.08.17 |
주식과 경제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Juggernaut (15) | 2024.07.14 |
영어 문장 만들기 | ‘우리가 원했던 그 곳에’ 영어로 어떻게 만들어요? (16) | 2024.06.20 |
영어 문장 만들기 | “내가 봤을 땐, 이게 아주 명확해보여” 영어로 어떻게? (14) | 2024.06.13 |